서울시는 지난 8일 '제3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옛 성동구치소 부지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과 '성북구 종암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안)'에 대해 각각 조건부 가결, 수정가결했다.
이 계획안에는 주민소통거점 용지와 청소년교육복합 용지 위치를 변경하고 감시탑 등 기존 시설을 철거하는 내용 담겨있다.
먼저 ‘옛 성동구치소 부지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공공기여부지에 대해 구체적 활용계획을 수립해 공공기여시설의 광역접근성과 주민이용도 증진, 복합적 활용 등을 위한 것이다.
서울시는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통해 옛 성동구치소 공공기여부지를 활용해 주민들을 위한 문화복합시설을 공급할 예정이다. 또 주민소통거점용지와 청소년교육복합용지의 위치를 바꾸고, 주민소통거점서설의 허용․권장용도를 일부 추가하면서 역사흔적남기기를 기록화방안으로 변경하는 사항이 포함됐다.
고려대 후문은 신설 동북선역 활성화, 바이오·의료 R&D 연구를 위한 업무지원·벤처기업 유도 등을 위해 기존 근린상업지역에서 용도지역 상향이 포함된 '특별계획구역·용도지역 조정가능지 제도'를 도입해 복합개발을 한다.
종암로변 개발 활성화를 위해 판매·업무시설 용도를 준주거지역에서 적용되는 용도로 완화하고 경전철 출입구 주변 공개공지 조성 등도 마련키로 했다.
한편 이날 위원회에서는 고척동 '서울남부교정시설 이적지 지구단위계획구역·계획 결정(변경) 및 특별계획구역 세부개발계획 결정 변경(안)'도 수정가결했다. 또 동일로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결정(안)과 구로구 오류동 135-33 일원 역세권주택 지구단위계획구역 결정(안) 등 2건은 보류로 결정했다.
주현태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