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대형 유통업체 판매수수료율 등 유통거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공정위는 ▲TV홈쇼핑 ▲백화점 ▲대형마트 ▲온라인쇼핑몰 ▲아웃렛·복합쇼핑몰 ▲편의점 등 6대 유통업태의 주요 브랜드 34개에 대한 판매수수료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업태별 실질수수료율은 TV홈쇼핑 29.2%, 백화점 19.3% 대형마트 18.6%, 아웃렛·복합쇼핑몰 13.3%, 온라인쇼핑몰 10.3%로 나타났다. 실질수수료란 1년동안 대규모유통업체가 납품·입점업체로부터 수취한 수수료와 판매촉진비 등 추가 비용을 합해 상품 판매총액으로 나눈 값이다. 예컨대 납품업체가 물건을 100만원을 판매한다면 TV홈쇼핑은 29만원, 백화점은 19만원, 대형마트는 18만원 등을 가져간다는 뜻이다.

가장 높은 실질수수료율을 보인 브랜드는 CJ온스타일(34.1%)다. 온라인쇼핑몰 중에서는 쿠팡(29.9%)이 가장 높은 수수료를 가져가는 것으로 확인됐다./사진=본사 DB
이미지 확대보기지난해 대비 실질수수료율은 대형마트 4.2%포인트(p) TV홈쇼핑 1.1%p 감소했으나 온라인쇼핑몰 3.5%p, 아웃렛·복합쇼핑몰 2.4%p, 백화점 1.8%p 증가했다.
계약서상 명시한 판매수수료를 말하는 '정률수수료율' 역시 TV홈쇼핑이 34.3%로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백화점 25.4%, 대형마트 19.6%, 아웃렛·복합쇼핑몰 17.4%, 온라인쇼핑몰 16.8% 순이다.
이 가운데 가장 정률수수료율이 높은 브랜드는 CJ온스타일(39.3%)로 나타났다. 신세계백화점과 이마트도 각각 26.9%, 21.9%로 높은 정률수수료율을 보였다. 쿠팡 역시 24.4%로 온라인쇼핑몰 중 가장 많이 입점·납품업체로부터 가져갔다.
전년 대비 정률수수료율은 대형마트 0.5%p, 아웃렛·복합쇼핑몰 0.2%p, TV홈쇼핑 0.1%p 하락했으나 온라인 분야에서는 0.1%p 상승했다.
납품·입점업체가 계약상 수수료 외 부담하는 추가 부담비용은 편의점(6.8%)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온라인쇼핑몰(5.5%), 대형마트(4.1%), TV홈쇼핑(0.9%), 백화점(0.2%), 아웃렛·복합몰(0.1%) 순이었다. 특히 판매촉진비 부담 비율은 쿠팡이 7%로 가장 높았으며 편의점에서는 3.6%로 GS25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공정위 관계자는 "유통환경의 변화로 크게 성장한 온라인 쇼핑몰 분야에서는 실질 수수료율이 지난해 비해 하락했으나 거래금액 대비 판매촉진비 등 추가 비용 부담 비율이 증가했다"며 "이번 정보공개를 통해 납품·입점업체 간 거래조건 협상력을 높이고 대형 유통업체의 일방적 비용 전가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나선혜 기자 hisunny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