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5일 진행된 긴급 상생 간담회에서 철·콘 하수급인이 애로사항 호소하고 있다. / 사진제공=대한전문건설협회
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철·콘업체들은 전국 건설 현장에서 중단했던 골조(철근·콘크리트) 공사를 다시 진행했다.
앞서 지난달 21일 전국 184개 골조업체로 구성된 전국 철·콘 연합회는 전국 100대 건설사 등을 대상으로 계약 단가 20% 인상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낸 바 있다. 연합회가 단체로 계약금 증액을 요청한 것은 2019년 설립 이후 처음이다.
답변을 요구한 3월 1일까지 하도급대금 조정 의지를 문서로 회신하지 않은 몇몇 건설사 현장은 2일부터 셧아웃이 강행됐다.
전국 주요 골조 하도급 현장에서 확산되고 있는 원·하수급인 간 하도급대금 증액 갈등을 진정시키기 위해 대한전문건설협회는 지난달 25일 긴급 상생 간담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하수급인 측에서 철·콘업계 5대 권역별 대표단 40여 명이, 원수급인 측에서는 건설외주협의회 회장을 비롯한 종합건설업체 10개사 외주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양 측 상황과 입장을 피력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철·콘업계는 자재 가격·노무비 인상, 불법 노조 횡포, 중대재해처벌법 등 업계를 둘러싼 어려움을 호소하며 종합업계의 적극적인 상생 의지 표명을 요구했다.
이에 종합업계는 불가항력적 상황에서 하수급인의 고충을 이해하지만 현장별로 계약관계가 천차만별인 만큼 대화의 시간을 충분히 가지며 상호 의견차를 좁히는 것이 업계 전체의 피해를 줄이는 길이니만큼 현장 셧다운 등 강경한 대응에 자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
다만 철·콘업계에서 그간 수차례에 걸쳐 자재 가격·노무비 인상에 대한 대화를 요청했음에도 대다수 종합건설업체들의 무성의와 저조한 간담회 참석률로 인해 철·콘업계의 집단행동 의지를 꺾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최근 철·콘뿐만 아니라 대부분 자잿값도 빠르게 올라가고 있다. 인건비도 상승해 건설사들 부담이 커지고 있다. 규제 때문에 인상된 비용에 대한 부분을 분양가에 반영하기도 힘들다”며 “일단 공사에 차질이 생기게 둘 수 없어 합의는 해야 하는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철·콘업계는 제대로 된 협상안이 도출되지 않을 경우 셧다운 등 단체행동도 불사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합의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이은형닫기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