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장보다 236.60포인트(0.68%) 오른 3만5135.94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0.65포인트(1.32%) 상승한 4655.27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91.18포인트(1.88%) 오른 1만5782.83에 마감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오미크론으로 인한 추가적인 여행금지나 봉쇄는 불필요하다고 언급한 점이 불안 심리를 다소 완화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파월 연준(Fed) 의장은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당초 예상보다 장기화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낙폭 과대 인식 속 저가 매수세 유입이 있었고 성장과 경기 민감 업종 간 차별화 장세를 연출하며 반등세로 마감했다"며 "아직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력이나 치사율에 대한 정보가 아직 부족한 상태로, 주말 사이 더 많은 국가 정부들이 외국인 입국 금지 조치들을 발표했다는 점이 장중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으나 장 중반 이후 봉쇄조치로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바이든 대통령의 발표는 시장에 안도감을 제공했다"고 판단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도 장중 1.56%까지 올랐다가 장 마감 시점에 1.51%로 상승폭을 줄였다.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다소 약해졌으나 아직 오미크론의 구체적 데이터에 대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급락했던 유럽 증시도 반등했다.
2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54% 오른 6776.25,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는 0.16% 오른 1만5280.86,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0.94% 오른 7109.95, 유로 Stoxx 50 지수는 0.49% 상승한 4109.51에 마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