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증시가 동반 급락하고 나서 아시아에서 처음 열리는 29일(오늘) 국내 증시에 시선이 모아져있다.
국내 증권가는 오미크론 여파로 위험회피 심리 확산 가능성을 내다보지만, 펀더멘털에 주목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오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오미크론 쇼크로 일제히 2%대 급락을 기록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53%, S&P500지수는 2.27%, 나스닥지수도 2.23%씩 하락했다. 추수감사절 연휴 다음날로 오후 1시에 폐장했기 때문에 이 정도에 그쳤다는 분석도 나왔다.
유럽 증시도 STOXX600 (-3.67%), DAX (-4.15%), CAC40 (-4.75%), FTSE100 (-3.64%) 등 크게 밀려 동반 급락했다.
국제유가도 26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내년 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13.06% 급락한 배럴당 68.15달러에 마감했다.
'안전자산' 선호가 높아지면서 같은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물 금 선물은 1.20달러(0.1%) 상승한 온스당 1785.50달러에 마감했다.
코로나19가 증시에 다시 노이즈로 부상하며 위험회피 심리 확산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 26일 코스피도 전 거래일보다 43.83포인트(1.47%) 급락한 2936.44까지 후퇴했다. 오미크론 충격이 지속될 지 여부가 관심사다.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로 빗장을 열었던 경기가 다시 위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국내 증권가는 기존 경로를 단기적으로 지연시킬 요인일 뿐 근본적인 훼손까지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무게를 두고 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변이 대응에 대한 백신 제조사들의 움직임과 학습효과, 전면 봉쇄에 대한 주요국들의 신중한 태도 등을 고려할 때 2020년 3월과 같은 급격한 시장 위축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한다"며 "또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긴축 속도가 주춤해질 수 있다는 점도 시장 충격의 완충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판단했다.
과매도 영역 진입 시 선별적으로 단기적 매수 기회로 삼으라는 제언도 나온다.
강재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오미크론 변이 소식에 신흥국 증시 과매도 영역에 진입하면 단기적 매수 기회"라며 "반등 시 추세 상승 기대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으며 글로벌 확산 여부 모니터링 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센티멘털에 흔들리지 말고 과도한 공포는 경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박병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오미크론 변이 뉴스에 대해 과도한 공포감으로 시장을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며 2주 내 공개될 것으로 보이는 해당 변이에의 백신 효과, 변이로 인한 사망자 추이 등 빠르게 객관적인 데이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객관적 정보 파악을 바탕으로 투자에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도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WHO(세계보건기구)에서도 밝히고 있듯 오미크론이 많은 돌연변이를 갖고 있다는 것 외에는 변이에 대한 정보가 아직 부족하다"며 "특히 기존 백신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얼마만큼의 효능이 있는 지에 대한 분석에도 시간이 필요할 전망으로 과도한 공포는 물론, 낙관도 경계해야 할 시점으로 판단된다"고 제시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