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 사진제공= 한국은행(2021.07.15)
이미지 확대보기금통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2020년 3월에 0.5%포인트(p), 5월에 0.25%포인트씩 잇따라 기준금리를 내렸지만, 이후 현재까지 1년2개월 기간동안 동결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그동안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로 경기 회복을 지원해왔지만 가계부채,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우려도 나왔다. 실제 가계대출은 큰 폭의 증가세를 이어가며 상반기 기준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
이주열닫기

그러나 이번 7월 회의에서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을 고려할 때 일단 기준금리 동결에 의견을 모은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상황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날 때까지 일단 완화적 기조를 이어가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7월 기준금리 동결은 채권 전문가 다수 예상치에 부합한다.
이날 금통위는 코로나19 전개 상황 등을 점검하면서 통화 완화 정도 조정 여부를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제시했다.
아울러 금통위는 통방문에서 "금년중 GDP성장률은 지난 5월에 전망한 대로 4%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고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월 전망경로를 상회하여 당분간 2%대 초중반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제시했다.
이번 한은 기준금리 동결로 미국 연준(Fed)의 정책 기준금리(0.00~0.25%)와 금리 격차는 0.25~0.5%포인트로 유지됐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