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코스닥협회가 코스닥 상장사 1496개사를 조사한 결과 지난 5월 3일 기준 코스닥 상장사 CEO 1807명 가운데 60대 이상은 665명으로 전체의 36.7%를 차지했다.
이는 2019년(27.6%), 2020년(32.9%)에서 최근 2년간 9.1%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전체 CEO 가운데 50대가 804명(44.5%)으로 가장 많았다. 60대(29.9%)와 40대(16.8%), 70대(5.5%)가 그 뒤를 이었다.
평균연령은 56.9세로 지난해보다 0.6세 높아졌다.
성별로는 여성 CEO가 64명으로 작년(61명)보다 3명 늘었지만, 비중은 전체 CEO의 3.5%로 전년도보다 0.1%포인트 작아졌다.
최종학력은 대졸이 47.2%로 가장 많았고, 석사(24.7%), 박사(16.9%) 등 석사 이상도 41.6%를 차지했다. 석·박사 비중은 지난해(38.8%)보다 2.8%포인트 증가했다. 고졸은 1.6%에 그쳤다.
출신 대학 비중은 서울대(18.9%), 연세대(10.4%), 한양대(6.9%), 고려대(6.5%) 순이었다.
계열별로 보면 이공계열(46.2%)이 가장 많고 상경계열(38.6%)과 인문사회계열(7.4%)이 그 뒤를 이었다. 전공별 분포는 경영학 26.4%, 전자공학 5.9%, 기계공학 4.5% 순으로 조사됐다.
코스닥 상장사의 전체 임원 수는 1만4648명으로 상장사 1곳당 평균 9.8명의 임원을 뒀다. 이 중 등기임원이 8524명으로 평균 5.7명 수준이었다.
사외이사는 일반기업(33.0%), 교수(20.5%), 법조계(15.6%) 등의 출신이 많았고 감사는 일반기업(35.0%), 회계·세무(21.1%), 금융기관(15.2%), 법조계(12.8%) 등의 출신이 많았다.
코스닥 상장사의 평균 업력은 24.0년이었으며 평균 직원 수는 214.2명으로 집계됐다.
장경호 코스닥협회 회장은 “최근 60대 이상 CEO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기업의 영속성 측면에서 효율적인 기업승계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가업승계 사전요건 및 사후관리요건 등의 준수가 어려워 활용도가 낮다”라며 “가업승계 관련 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라고 전했다.
장 회장은 “32만명을 고용하고 있는 코스닥기업들이 코로나19 이후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규제완화 등 기업의 경영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라며 “특히 중소 코스닥기업에게는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를 면제해줘야 한다”라고 말했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