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공공전세주택 제도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효과적 홍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동산플랫폼 직방(대표 안성우)이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를 대상으로 정부에서 새롭게 내놓은 공공전세주택에 대한 인식조사와 함께 임대주택에 대한 의견도 물어봤다. 본 설문조사 기간은 4월 14~28일로 15일간 직방 접속자 대상 모바일 설문으로 진행됐다. 응답인원 2086명이고 표본오차 신뢰수준 95% ± 2.15%p 이다.
올해 처음 선보인 ‘공공전세주택’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 2086명 중 73.9%인 1542명은 ‘모른다’고 응답했다. 첫 시행인 만큼 아직 모르는 응답자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20대가 공공전세주택에 대해서 모른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공공전세주택 소개 후 입주자 모집에 참여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93.1%인 1942명이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유주택자보다 무주택자 그룹에서 참여 의향이 더 높았고 거주 지역별로는 인천(94.7%), 기타 지방(94.2%), 서울(94%), 경기(92.1%), 지방 5대 광역시(90.8%) 순으로 나타났다.
공공전세주택에 참여 의향이 있다고 답한(1942명) 응답자의 이유는 ‘시중 임대료보다 저렴할 것 같아서’가 32%로 가장 응답이 많았다. 다음으로는 월세가 아닌 전세형태라서(28.8%), 일정 주거 기간이 보장돼서(14.9%), 기존 공공임대보다 전용면적이 넓어서(9.9%)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공공전세주택에 참여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응답자(144명)는 ‘주택특성을 잘 몰라서’가 25%로 참여 안 하는 이유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임대주택이라서(19.4%) ▲무주택세대가 아니라서(17.4%) ▲향후 주택 매입 계획이 있어서(14.6%) ▲아파트가 아닌 오피스텔, 다세대 등의 형태라서(13.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을 보유하지 않은 무주택자(95%) 그룹에서 관심 여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과 인천(94.7%), 기타 지방(94.2%), 지방 5대 광역시(93.4%), 경기(92.5%) 순으로 응답됐다.
3월 분양전환을 시작한 '용산 나인원한남'과 같은 차별화된 도심 고급형 임대주택에 대한 질문에는 58.3%가 ‘관심 있다’로 응답했고,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26.7%, ‘관심 없다’는 응답은 15%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60.8%)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관심도가 높았다. 많은 인플루언서들이 거주하는 등의 이슈로 인해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보유별로는 1주택자(64.9%), 2주택자(57.1%), 무주택자(56.3%) 순으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응답됐다. 차별화된 고급형 임대주택에 대한 관심은 무주택자보다는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 전환되는 민간임대주택이나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가장 큰 장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중 588명(28.2%)이 ‘저렴한 분양가’를 꼽았다. 이어서 ▲일정 기간 살아보고 분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19.2%) ▲전월세 매물 부족 시장에서 안정적인 주거지 확보 가능(13.6%) ▲잘 모르겠다(10.3%) ▲임대료 저렴, 임대료 상승 우려 부담 적다(9.9%) 등의 순서로 선택했다.
직방 함영진 랩장은 "계속적으로 공급을 위한 대책이 나오고 다양한 형태의 주택 공급이 이뤄지고 있다"며, "수요자들은 각각 조건에 맞는 공급 유형을 잘 살피어 입주자 모집에 참여를 해 보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