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투자의 김상만 연구원은 28일 "여전채 하위등급은 여전채 상위등급 및 동일등급 회사채 대비 스프레드갭을 상당부분 축소시켰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현재 단기물의 경우 동일등급 회사채 대비 스프레드가 역전되는 수준까지 저평가가 해소된 상태라고 풀이했다.
하반기 시장금리 상승 가능성에 대비한 발행사들의 선제적인 회사채 발행증가로 인해 수급적으로 회사채가 여전채 대비 불리한 여건이었다는 것이다. 이는 연초 대비 낮아진 수요예측 경쟁률 및 낙찰 스프레드 수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반면 여전사의 경우 발행여건이 좋다고 채권을 선제적으로 발행할 이유가 없기에 공급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수요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최근 주식 공모시장 활황으로 인해 각광받고 있는 하이일드펀드의 하위등급 채권수요가 수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물론 하이일드펀드가 A급 여전채에 투자할 수는 없지만 BBB급에 대한 수요확대로 인해 차상위등급채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즉 ‘BBB급도 하는데 A급을 못하랴’는 심리가 작용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BBB급 회사채의 경우 전체적인 발행물량자체가 제한적인 상황이어서 더욱 그런 현상을 부추기는 요인이라고 판단했다.
단기물일수록 강세가 더욱 두드러지는 이유 또한 그런 맥락에서 접근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결과적으로 지금과 같은 시장여건에서 잠재적인 자산건전성이나 차환능력 등에 대한 펀더멘털적인 요소에 대한 고려는 개입될 여지가 점차 작아지고 있다"면서 "다만 하위등급은 펀더멘털에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것은 아니지만 상위등급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점은 여전히 감안하고 접근해야 할 필요는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유동성 홍수에 휩쓸려가는 상황에서 흐름을 거슬러올라가는 것은 쉽지 않은 선택"이라며 "하지만 거슬러 올라가지는 못하더라도 잠시 멈추고 휩쓸려내려가고 있는 것이 무엇이고 어떤 양상으로 떠내려가고 있는지는 확인할 필요도 있다"고 했다.
이어 "그런 측면에서 당분간 크레딧채권시장은 횡보이상의 흐름을 보이기 힘들다는 판단"이라며 "관망하는 입장에서, 떠나가는 대상은 가도록 내버려두고 지켜보자"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