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의 ‘2020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에 따르면 2013년 하루 1만 2501톤이었던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량이 2019년 1만 4314톤으로 늘었다. 연간 500만톤이 넘는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발생되는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무려 885만톤에 달한다.
음식물쓰레기는 퇴비 및 사료, 땔감으로의 재활용을 장려하고 있지만, 재활용 처리에는 음식물쓰레기 1톤당 약 12만원의 비용이 발생해 무단 투기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롯데슈퍼는 신선식품과 즉석조리식품을 운영하며 연간 약 5000톤 이상의 음식품쓰레기를 배출하고 있다. 처리 비용만 11억원 수준이다.
롯데슈퍼는 ESG경영 강화와 비용 감소를 위해 친환경 방식의 업소용음식물처리기 16대를 각 점포에 도입했다.
기존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정해진 공간에 일정기간 모아두면 전문업체가 점포를 방문에 수거해가는 방식이라 작업장 및 음식물쓰레기통 주변에 악취가 발생하는 등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에 도입한 음식물처리기는 친환경 미생물을 사용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했다.
음식물쓰레기가 미생물 발효 방식을 통해 약 24시간을 기준으로 소멸, 흰색 액체 형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냄새 발생이 거의 없고, 즉시 처리가 가능해 청결 관리에도 용이하다.
점포별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에 따라 50L, 100L, 200L의 3가지 용량 타입으로 설치했으며 롯데슈퍼는 16개 점포에 설치한 발효 방식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연내 50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향후 롯데슈퍼 300개 점포에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설치 시 음시물쓰레기 처리를 위한 비용약 11억원을 절감함과 동시에 환경 보호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효종 롯데슈퍼 지원팀장은 “최근 음식물쓰레기 증가에 따른 환경 오염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며 “발효 방식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통해 환경 보호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홍지인 기자 hele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