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 연구원은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3월 말의 1.75%에서 20bp 하락한 반면,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4월 4일 2.09%에서 그 절반인 11bp 하락 후 하단이 제한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한국과 미국의 스프레드 축소 강도가 다른 데엔 수급 차이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미국은 바이든 정부의 재정 부양책이 금리 상승 요인 중 하나였으나, 의회 논의 과정을 거쳐야하겠지만 증세안이 거론되면서 국채발행 부담이 일부 상쇄될 수 있다는 인식도 형성됐다"면서 "반면 국내는 재난지원금 이슈가 재차 부각되면서 금리 반등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물론 원론적이기는 하나 자영업 손실보상제 등 관련 이슈들에 대한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아 채권시장은 수급 부담을 떨쳐버리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공급과 함께 수요 측면도 양국이 다소 다른 양상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3월 금리 상승은 숏 베팅, 일본 투자자들의 매도 등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언급되고 있는데 4월 들어 일본 투자자들이 매수로 전환했다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미국의 채권 투자자들 동향을 다 알 수는 없지만 외국인 측면에서 국내는 4월 들어 매수가 많지 않다"면서 "외국인이 ‘국고 19-8’을 대량 매도한 영향이 크다"고 밝혔다.
그는 "외국인의 추세적인 원화채 매도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잔고가 증가하지 않는 계절성은 주목된다"고 밝혔다.
4월 23일까지 외국인, 은행, 보험은 3월 대비 국고채 순매수가 감소했고 투신은 증가했으며 기금은 비슷하다.
김 연구원은 "국내 채권 수요가 아주 적극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돼 수급 측면에서 미국 대비 국내 금리 낙폭이 제한적인 배경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당분간은 경제지표들의 전망치 대비 실제치의 차이가 단기 변동성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4월 FOMC에 대한 경계감도 있겠지만, 아직 급격한 변화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며 "6월 FOMC가 다가오며 테이퍼링 등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경계감이 재차 형성되기 전까지는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2% 초반대 중심으로 등락할 것을 전망했으나 재난지원금 부담으로 다소 높아졌다"고 밝혔다.
그는 "선반영된 부분도 있지만 향후 한은 단순매입도 주목받을 것"이라며 "국고 10-3년 스프레드는 이평선 수렴 후 크로스 여부 시점에서 확대, 반면 30-10년 스프레드는 축소됐다"고 지적했다.
추세적 플래트닝을 위해서는 1) 백신의 심각한 부작용 등으로 금리 방향성이 하락 전환하거나, 2) 금리인상이 빨리 시장에 반영되며 단기금리가 상승하거나, 3) 재정건전성 이슈 등으로 추경이 제한된다는 인식 형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