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희원 연구원은 "1월 들어 실업수당 청구건수 감소 속에 ADP 민간고용이 호조를 보이면서 고용회복에 대한 눈높이가 올라갔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원은 "이번 고용동향은 높아진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했다"면서 "고용 지표로 인한 금융시장 움직임은 제한적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코로나 재확산 영향에 소매 및 여가 이동지수가 평시대비 25% 내외로 위축되는 등 경제활동 제약이 이어진다"면서도 "이러한 경기 하방 압력은 백신 보급에 따라 약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2월 첫째주 기준 약 2개월 반 만에 전체 인구 100명 중 11명에 대해 백신 접종이 이뤄졌다"며 "2분기에서 3분기 사이 집단면역 형성과 함께 경제 정상화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추가로 정부의 공격적인 부양책 집행이 재개된다. 작년 12월 말 6개월 동안의 공백을 깨고 PPP(급여보호프로그램)를 비롯한 0.9조달러 규모 부양책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그는 "바이든은 후속 조치로 1.9조달러 부양책까지 예고했다"며 "단기 수요 유입이 집중되며 고용 회복세 가 가파라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 美고용, 정부고용이 민간 부진 상쇄
미국의 1월 고용은 개선세를 다시 이어갔으나 기대에는 못 미쳤다. 비농가취업자수는 전월대비 4.9만명 늘며 컨센서스(+10.5만명)를 하회했다. 직전 2개월 수치는 15.9만명 하향됐다.
더딘 취업자 증가에도 실업률은 전월대비 6.3%로 0.4%p 내렸다. 경제활동참가율이 전월대비 0.1%p 내린 영향이 작용했다.
작년 4분기 이후 경제활동참가율은 61% 중반, 고용률은 57% 중반에서 정체됐다.
김 연구원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뚜렷한 고용 회복은 부재했다"면서 "민간 부문에서의 신규 고용 창출은 0.6만명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숙박음식(-6.1만명)과 소매업(-3.8만명), 운송창고(-2.8만명) 등 대면서비스업 취업자 감소가 이어졌다.
제조업과 건설업 또한 각각 1.0만명, 0.3만명 줄었다. 반면, 전문서비스(+9.7만명)와 도매업(+1.4만명)이 민간 부문 부진을 일부 상쇄했다. 정부 부문은 공교육업을 중심으로 4.3만명 늘었다.
임금은 7개월 연속 올랐다.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5.4% 상승했다. 서비스업과 건설업 중심으로 임금 상방 압력이 이어지나 업종전반에 걸쳐 오름세는 둔화됐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