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민 연구원은 "11월 이후 KOSPI의 강한 상승세가 2021년을 예고하는 흐름이라고 보지만, 연말까지 KOSPI 2,700선은 업사이드 포텐셜이 제한적이고 다운사이드 리스크가 큰 지수"라고 진단했다.
내년 코스피 지수 3천 시대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지만 단기적인 대응전략에서는 보수적인 상황이며, 순환매 대응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긍정 편향 심리가 지속되며 주가 상승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지만, 투자심리 변화에 따라 금융시장의 단기 방향성이 언제든 바뀔 수 있는 상황"이라며 "지난주 시장은 호재에 환호하기보다 기대감을 하회한 변수들에 더 민감했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상승국면에서 투자자들의 해석, 금융시장 반응과 다른 양상이라는 것이다.
그는 "시장의 환호가 커질수록 추가적인 상승을 위해서는 더 강한 호재, 모멘텀이 필요하다"면서 "호재성 이슈/이벤트는 글로벌 금융시장에 상당부분 선반영 된 반면 글로벌 코로나19 팬데믹이 진행 중이고, 주요국 경제지표들은 11월 이후 둔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KOSPI 상승의 핵심 동력이었던 원화 강세–외국인 순매수간 선순환 고리도 깨졌다. 외국인은 3주 연속 순매도를 이어가고 있고, 원/달러 환율은 20일선을 회복해 반등국면을 전개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KOSPI 사상 최고치 행진, 견조한 흐름에 안도하기보다 균열의 조짐들에 주목할 때"라고 조언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