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는 참고용 사진.
18일 한국외식업중앙회는 입장문을 내고 “기존 3단계 지침대로라면 식당은 오후 9시 이전까지는 시설 면적 8㎡당 고객 1명이라는 조건에서 일반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며 “일상 속 전파 속도가 빠르다는 이유로 3단계 상향 시 음식점 취식을 전면 금지해야 한다는 논리는 어불성설”이라고 했다.
이어 “전체 외식업에서 한식업 비중은 44.23%에 해당하는 31만3562개로, 그 중 한식업 중 한식 일반 음식점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0.14%를 차지하고 있으며 80%이상은 영세한 외식업에 속한다”며 “3단계 수준의 격상에 따른 조치로 전면적으로 영업을 중단시키고 배달만 가능하도록 한다면 이후 최악의 매출감소로 이어질 것은 명백한 사실”이라고 밝혔다.
특히 포장·배달만 가능해지면 최악의 매출 감소 사태가 일어날 수 있으며 특히 영세한 한식 음식점의 피해가 클 수 있다고 주장했다. 통계청 외식경영실태조사에 따르면 한식업의 경우 방문외식의 의존도가 높고 배달(5.7%)이나 포장외식(11.4%) 비중이 많지 않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이 단체는 “또 한 가지 우려되는 사항은 사회생활을 하는 직장인들의 점심대란”이라며 “배달과 편의점이 일정부분 감당을 하겠지만 대다수의 직장인들은 점심해결에 난감해 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한국외식업중앙회는 정부는 제3차 긴급재난지원금의 소상공인 우선 지급, 소상공인 긴급대출 확대, 임대료 직접 지원, 금융기관의 소상공인 대출 이자 징수 중단 등 강도 높은 지원을 요구했다.
유선희 기자 ys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