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남중 연구원은 "이미 트럼프는 4일 위스콘신, 미시간, 펜실베니아 개표 중단과 재검표 요구 소송을 주대법원에 제출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점점 혼탁해지는 미국 대선 상황을 놓고 보면 대통령 공식 확정까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노스캐롤라이나의 우편투표 접수가 11월 12일까지라는 점은 빠르면 선거(11월 3일)이후 9일, 늦어지면 2000년 제43대 대선 사태처럼 35일 전후 시간이 걸리며 대통령 확정이 이뤄질 것으로 판단했다.
문 연구원은 "트럼프의 불복 소송 제기는 스스로 발등을 찍는 자충수"라며 "미국 연방우체국은 경합주 내 민주당 거점지역의 우편투표 용지를 선거관리당국에 보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는 대선전부터 트럼프가 본인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유도한 선거 개입 정황으로까지 연결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워싱턴 DC 연방지방법원이 조속히 투표용지가 회수될 수 있도록 명령했음에도 불구하고 연방우체국이 묵살했다는 점은 향후 트럼프 진영을 뒤흔들 뇌관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아무튼 우편투표 개표가 바이든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가 우편투표를 사기투표라는 명목으로 불복 소송을 이어가고 있는 만큼 2000년 제43대 대선 사태(부정선거 의혹)가 재연출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사태가 조속히 해결되지 못할 경우 선거인단 투표가 불가능해질 수 있고, 트럼프 임기인 21년 1월 19일까지 차기 대통령이 결정되지 못할 경우 하원의장이 대통령직을 대행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