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락 연구원은 "일정 레벨 이상으로 금리가 뛸 경우 중앙은행은 시장 안정을 꾀할 것이지만 투자 메리트는 제한적"이라며 이같이 진단했다.
각국 중앙은행들이 처한 입장은 대동소이하다고 진단했다.
공 연구원은 "각국은 돈을 풀어 급격한 경기 위축을 방어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고, 미리 기준금리 인하 등을 통해 시중금리 안정을 꾀했던 통화당국은 완화적 조치들을 통해 재정정책을 보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앙은행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통화정책은 경기 회복에 대한 명확한 시그널을 확인할 때까지는 완화를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라며 "10월 금통위가 금융 불균형도 유의하나, 지금 경기가 더 중요하다고 한 발언은 이제 중앙은행의 발언 공식이 된 상황"이라고 밝혔다.
미국 등 다른 나라의 양상도 비슷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각국이 빚을 많이 낸 만큼 '인플레이션 조세'를 활용할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공 연구원은 "연준의 평균물가목표제(AIT)의 경우 당장 해당 조치로 인해 기준금리가 변화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나 결국 중앙은행이 물가 상승을 용인하거나 견인하는 과정을 통해 국가의 실질적인 채무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일종의 정책 공조"라고 진단했다.
그는 "물량 부담 때문에 시중금리의 상승 압력이 차츰 가시화되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각국의 행보는 거의 동일하다"고 평가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