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령대별, 성별 불안심리. / 사진 = 삼성생명 인생금융연구소
삼성생명 인생금융연구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중노년기 불안심리 연구 보고서'를 14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지난 5월 전국 만40~75세 성인남녀 1000명(만성질환자 800명, 일반인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노년층에게 불안 빈도를 물어보는 질문에서 '자주 또는 항상 불안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40대(21.9%)가 가장 높았다. 50대가 19.5%, 60대 이상이 10.8%로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여성(23.6%)이 남성(14.6%)보다 높았다.
불안심리를 촉발시키는 요인으로는 '노후 생활에 대한 걱정/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1위(20.1%)를 차지했다. 이어 코로나19로 인한 감염 우려(19.2%), 일자리 상실에 대한 염려(8.7%) 순이었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과 여성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감염 우려'를, 40~50대 남성은 '일자리 상실에 대한 염려'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불안심리는 코로나19 이후 더욱 커졌다. 불안심리 정도를 점수(0~10점)로 물어본 결과, 코로나19 이전에는 평균 3.2점이었으나 이후 5.8점으로 상승했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민감하게 반응했으며, 60세 이상 고령층도 불안감이 커졌다.

코로나19 이후 보장성 건강보험 니즈. / 사진 = 삼성생명 인생금융연구소
보장성 보험에 가입한 중노년층 10명 중 8명은 보험이 있어 ‘든든하다’(77.9%)고 응답했으며, 이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또 남성보다 여성이 더 든든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자도, ‘병력이 있더라도 가입할 수 있는’ 유병자보험에 대해 높은 호감도를 보였으며, 중증도가 심할수록 ‘매우 든든하다’(12.1%)는 응답이 많았다.
삼성생명 인생금융연구소 박지숭 연구원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불안감이 커지고 삶의 질은 떨어지는 상황에서 보험이 불안을 해소하고 질병 및 노후의 삶을 대비하는데 큰 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유정화 기자 uhw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