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 위원장 주재로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를 개최해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3.24일), 기업 안정화방안(4.22일) 등의 준비·집행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금융권의 긴급 민생·경제 종합대책 준비상황을 점검하고, 소상공인 지원 프로그램 추진상황, 중소·중견기업 자금지원 상황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긴급 민생경제 종합대책 내용이 일부 개선될 방침이다.
소상공인 2차 지원 프로그램의 대출한도가 1천만원에서 2천만원 상향 1·2차 프로그램 간 중복신청도 허용된다.
중소기업의 경우 추가 특례신용대출 2.5조원을 지원하고 코로나19 대응 P-CBO 한도 확대 및 인수비율 완화 등을 통해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P-CBO의 기업당 한도가 기존 중견기업이 700억원, 대기업이 1,000억원에서 중견기업 1,050억원, 대기업 1,500으로 상향 조정된다.
계열당 한도는 기존 1,500억원 일괄적용에서 중견기업 1,500과 대기업 2,500으로 차등적용한다.
인수비율도 1.5%~9% 에서 1.5%~6% 로 변경된다.
시중은행, 신보에서는 2차 지원 프로그램이 9월 23일부터 가동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추진하고, 창구혼잡에 대비해 방역조치에도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뉴딜펀드 도입과 관련한 후속조치도 마련됐다.
정책형 뉴딜펀드의 경우 실무준비단을 가동하여 9월중에 펀드의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세부계획 등을 안내할 계획이다.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디지털, 그린 분야 품목들을 선별한 뉴딜투자 가이드라인을 9월중에 마련하여 뉴딜금융 지원대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예정이다.
관계부처 중심으로 뉴딜 테마별 투자설명회를 개최해 뉴딜 분야 사업들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손 부위원장은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한국판 뉴딜의 성공을 이끄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민간 뉴딜펀드가 뉴딜산업 성장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 참여"를 요청했다.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