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실 연구원은 "이주열닫기

김 연구원은 "중장기물에 대해서는 국고채 공급 부담이 남아 있다"면서 "최근 발표된「한국판 뉴딜」정책을 반영한 국고채 발행 부담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는 "비록 국비 114.1조원에 대한 출처를 적자국채로 단정할 수는 없으나 현재로서는 국고채 조달이 가장 가능성이 높은 편"이라며 "국고채 발행 조달이 현실화될 경우 2020~2025년 연간 국고채 발행액은 평균 160조원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는 "2018~2019년 국고채 연평균 발행액 100조원과 비교해 충분히 공급 부담감을 느낄 만한 규모"이라며 "결국 유통시장 개입을 통해 금리를 컨트롤 하는 비전통적 통화정책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기"라고 평가했다.
이어 "다시 말해 한국은행의 국고채 시장 개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될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