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훈 연구원은 "7월 17~18일 EU정상회의에서 공동기금/장기예산안 관련 논의가 지속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원은 "통과시 유로존 회복 및 성장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신뢰가 높아질 수 있다"면서 "중단기적으로 유로존 경제의 회복 속도가 미국보다 더딜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에는 유로존의 재정정책 대응이 미국 대비 소극적이라는 점도 한 몫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동기금이 4년 간에 걸쳐 2019년 GDP의 5.4%, 매년 1.4% 내외 규모의 자극을 추가적으로 부여한다는 점은 이러한 우려를 완화할 요인"이라고 밝혔다.
두번째로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유럽의 영원한 숙제였던 재정통합에 한 발짝 다가가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유럽 일부 국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유럽 이사회가 보조금(grants) 지급이 미래 EU 단일시장(single market) 수립, 지역간 분열(fragmentation)과 격차(disparities) 방지에 핵심적이라고 밝히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풀이했다.
공동기금에 대한 합의가 성사되면 금융시장에서는 유로존 성장 모멘텀 개선 가능성을 반영한 유로화 강세와 함께 독일 국채대비 이탈리아와 스페인 국채 스프레드의 축소가 나타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이탈리아, 스페인 등의 재정건전성 제고에도 부분적으로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