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CC 리서치센터는 "2022년 경제전망이 2021년 신흥국 통화정책의 경로를 결정하겠지만 기존의 성장 경로로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 회복해 간다면 신흥국 통화당국은 선진국과 금리차가 작아 부담을 느낄 수 있는 시점"이라며 이같이 진단했다.
연구원들은 "위기 국면에서 회사채 매입 등 전통적인 중앙은행의 역할에서 벗어난 행태들이 용인되고 있으나 위기 이후에는 통화정책의 신뢰 회복을 위해 대차대조표를 정상화 해야 한다"면서 "단기적으로는 신흥국 경기 회복 기대감이 높을 수 있지만, 다가올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신흥국 자산에 대한 투자를 주저하게 만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재정 확대로 단기 투자심리는 개선됐으나 장기적으로는 채무상환 부담이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연구원들은 "2020년 대부분 신흥국의 대규모 재정 적자는 불가피하다. 코로나 충격을 재정지출 확대로 경감시켜야 하기 때문"이라며 "재정지출 확대는 단기적으로 경제 반등을 촉발해 투자심리를 다소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나 장기적으로는 채무 부담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이는 신용등급 하락과 채무상환능력에 대한 우려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 위기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아 각국 정부가 과감하고 전례 없는 정책으로 대응하면서 단기적으로 투자심리 개선 등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미중 갈등, 공격적인 통화정책, 재정과 외화 유동성 악화 등 다가올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러한 부작용에 대한 신흥국별 대응능력은 더욱 차별화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향후 미중 갈등은 싸움과 타협이 반복되는 가운데 서로를 배제하는 디커플링 상황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연구원들은 "코로나19 이후 세계는 대형 위기 이후 반복 되었듯 시장보다 국가에 힘이 쏠리고, 최적화와 효율성보다 지정학, 정치적 판단이 더욱 중요한 의사결정 요인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이에 따라 글로벌 교역 회복이 지연되면서 구조적 저성장이 상당기간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자료: NH투자증권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