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지급결제시스템 운영기관(한국거래소, 예탁결제원, 금융결제원)의 코로나19 대응 현황 및 참가기관(은행, 증권회사 등)의 결제리스크 점검을 강화했다.
운영기관 측면에선 참가기관의 결제불이행에 대비해 충분한 재무자원을 보유하고, 비상상황 시 유동성 조달계획을 적절히 수립했는지 점검했다.
참가기관 측면에선 주요 결제리스크 지표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는지 일별로 점검하고 파생상품 증거금, 우발채무 등 소액결제시스템 참가 증권회사들의 유동성 리스크 유발 요인에 대해 조사가 이뤄졌다.
한은망 참가기관에 대해서는 사업장 감염·폐쇄 시 대응지침을 마련하여 안내하고 동 지침 이행을 지도했으며 소액결제시스템 참가기관의 결제이행용 담보증권 관련 부담이 완화됐다.
한은은 차액결제이행용 담보증권 제공비율을 20.4월부터 인하(70%→50%)하고 당초의 인상 일정도 유예했다.
한은은 "동 조치로 약 10.1조원에 해당하는 유동성이 공급되는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차액결제이행용 담보증권의 인정 범위도 기존 국채, 통화안정증권 등에서 공공기관 발행채권 등으로 한시적(20.5.25~21.3.31일)으로 확대됐다.
BIS내 지급 및 시장인프라위원회(CPMI) 회원으로서 한은은 코로나19에 대응한 국제논의에 적극 참여하고 중앙은행들과 협력 중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각국 주요 지급결제시스템 운영기관의 대응 현황 및 전산장애 발생 사례 등을 수시로 공유하는 한편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이 국내 지급결제시스템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