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수 연구원은 "한은의 보수적인 국채 매입 스탠스로 추경에 따른 수급 부담도 높다"면서 이같이 진단했다.
신 연구원은 "코로나 확산 우려도 국지적인 현상이며 경제침체의 장기화로 판단하기는 이르다"면서 "단기적으로 높아진 불확실성을 반영하며 코로나 추이와 경제지표 결과에 연동된 변동성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미국의 일부 주와 신흥국의 코로나 확진자 증가로 경기 둔화 우려가 다시 높아졌으나 미국의 코로나 확산은 국지적이며 주요국은 진정 추세라고 진단했다.
그는 "국내외 중앙은행이 확장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했지만 시장의 기대에는 미흡했다"면서 "미 연준은 마이너스 금리나 수익률곡선 제어 정책에 대한 시그널이 부족했고, 한은은 국채 매입에 미온적이며 추가 금리인하 기대도 약화됐다"고 밝혔다.
그는 "생보사와 국민연금 등 장기 투자기관의 국내 채권투자 비중은 축소되는 상황"이라며 "재정확대로 인한 국채 발행 증가 우려는 높다"고 밝혔다.
그는 "더구나 경기 모멘텀 개선, 추가 금리인하 기대 약화, 낮은 절대 금리 등으로 이전보다 투자 심리도 약화됐다"고 밝혔다.
신 연구원은 "코로나 추이가 불확실하나 하단을 테스트 할 만큼 2차 대유행 우려는 이르다"면서 "다만 추세 모멘텀 형성까지 시간이 필요한 만큼 코로나 추이와 경제지표에 연동된 변동성이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