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락 연구원은 "코로나19는 과거 경험했던 위기의 전개 과정과는 전혀 다른 타입의 유형인 한편 일순간 모든 것을 멈추게 할 만큼 전격적인 위기의 전개 과정이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공 연구원은 "이처럼 강력한 위기의 전개는 향후 수년간에 경제가 회복 경로를 진행하더라도 소위 말하는 원상 복귀가 쉽지 않은 국면을 야기할 여지가 높다"면서 "성장을 지향하는 현행 경제 체제 하에서 일종의 특정 구간 자체를 완전히 덜어낼 정도의 강력한 충격이었던 만큼 생산 기반이나 소비 성향 자체의 훼손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한 전염병으로 인해 경기의 추세 자체가 달라진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잠시 상황을 모면하면 빠르게 정상 상황으로 복구했던 글로벌 경제의 자생적인 회복 능력이 이번 코로나 19 에서는 기대하기 힘들다"고 진단했다.
그는 "위기 이후 가장 이상적인 회복 경로로 인식되고 있는 V 자형 회복보다는 회복의 기간이나 강도 자체가 제한적인 U 자형 회복 경로를 예상하며, 이 역시도 추후에 전개될 전염병 공포가 올해 상반기 경에 마무리된다는 전제에 기초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V 자형이든 U 자형이든 회복이 이뤄진다는 사실은 마이너스(-) 성장에서의 플러스 성장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그 과정에서 경기 모멘텀이 강화되거나 부각될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올해 글로벌 경제의 부진이 2020년이나 2021년까지는 이른바 정상화 과정으로 인해 비교적 높은 성장률의 구가로 이어질 것이란 견해"라며 "하지만 기술적인 반등으로 강화된 경기 모멘텀이 더 이상 이어질 가능성은 적어도 현시점에서는 매우 확률이 낮아 보인다"고 밝혔다.
경제 성장을 위한 기반의 훼손이 불가피해졌고 잠재성장률 역시 낮아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공 연구원은 "코로나 이후 기술진보나 혁신과 같은 새로운 성장 동력의 확보가 절실하다"면서 "성장 기반의 훼손을 막기 위한 정책 당국의 노력은 본질적 처방보다는 경제 주체들이 대응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벌어주는 보완 조치에 가깝다"고 밝혔다.
그는 "위기 국면에서 투입된 정책이 그 자체의 순(純)기능 뿐만 아니라 새로운 왜곡이나 교란의 원인으로 작용한 경우가 빈번했던 만큼 코로나 이후 Post 정책에 대한 대비도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