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락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하가 모든 나라에서 동일하게 원활히 작동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공 연구원은 "다같이 기준금리를 내려도 시중금리가 하락하는 폭이나 속도가 다를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오히려 시중금리를 뛰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면서 환율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국가에 따라 상이한 펀더멘털 여건으로 기준금리 결정 과정에도 차별화가 불가피한 만큼 인하에 따른 효과 역시 차별적으로 적용된다"면서 "국가별 통화정책의 차별화에서 가장 핵심적인 변수는 환율"이라고 지적했다.
기축통화국인 미국의 연준(Fed)이 코로나19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다른 어떤 국가들보다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응할 수 있었던 것도 따지고 보면 환율에 대한 위험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최근 기준금리 인하만큼이나 범용적인 돈풀기 방안으로 인식되는 양적완화(QE)를 시행할 수 있는 국가들이 미국 이외에 유로존, 일본, 영국 등의 준(準)기축통화국들로 한정된 이유도 환율에 대한 부담을 얼마나 인식하고 금융시장이 반응하느냐에
시행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반면 기준금리 인하가 원활하게 시중금리 하락의 경로를 형성하지 못하고 어려움에 처한 국가들은 한결같이 환율이 문제가 되는 국가들이라고 밝혔다.
공 연구원은 "최근 가파르게 환율이 급등한 브라질, 멕시코, 러시아 등도 역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내렸지만 시중금리가 제대로 낮아지지 못하고 있다"면서 "통화정책의 파급 경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외환시장 불안 즉, 환율의 불안이 큰 국가들의 경우 기준금리 인하는 통화의 약세를 부른다"면서 "이처럼 통화가 약세를 보이면 물가에 대한 부담을 키우고, 그 결과 시중금리가 하락하지 않거나 반대로 오히려 금리가 상승하는 역(逆)의 매커니즘이 작동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