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KB증권
김두언 연구원은 "미국의 4월 비농업부문 취업자 수는 전월대비 2,200만명 감소하고, 실업률(U3)이 16%대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통계국의 고용지표와 상관관계가 높은 고용 선행지표들이 동반 부진한 모습을 보임에 따라 헤드라인이 부진을 나태낼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주간 신규실업청구 건수가 급증했다. 4월 한 달 동안 누적으로 2,000만명 이상 실업보험을 신청했다"면서 "아울러 4월 ISM 고용추세 지수가 급락했다"고 지적했다.
ISM 고용추세 지수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고용지수(employment index)에 각각의 산업별 고용 비중을 가중 평균해 고안한 것이다.
김 연구원은 "통계국에서 발표하는 비농업부문 취업자 수 증감과는 0.8(1997년 7월부터 현재까지)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면서 "비농업부문 취업자 수 증감의 정확한 수치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전체적인 고용 추세를 파악하는 데 용이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4월 ISM 고용추세 지수가 29.7%로서 역사상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4월 비농업부문 취업자 수 감소 폭도 사상 최대 수준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기업들의 감원 계획도 증가했다. 재취업 전문 업체인 챌린저 그레이 앤 크리스마스에 따르면, 4월 기업들의 감원 계획이 67.1만명으로 사상 최고수준을 기록했다"면서 "이중 63.3만명이 코로나19로 감원을 했다고 발표했다"고 소개했다.
또 4월 ADP 민간부문 고용이 2,024만명 감소한 것 역시 고용지표 악화 가능성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역사상 가장 큰 하락 폭으로 산업별과 규모별로 가장 크게 줄어든 부분은 각각 서비스업(-1,600만명)과 대기업(-896만명) 등이었다.
헤드라인 수치들의 부진 외에도 근로시간, 고용률, 경제활동참가율을 주목할 것을 조언했다.
김 연구원은 "팬데믹 이후 연방정부가 도입한 급여보호 프로그램(PPP)을 제공받은 미국 기업들은 급여보호 프로그램 원금의 일부를 감면 받기 위한 움직임이 있었을 것"이라며 "근로시간을 줄여 최대한 실업을 줄이는 일자리 나누기(job-sharing)를 실행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는 고용시장 둔화에 따른 민간소비의 하락 폭을 일정부문 경감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그는 "고용률, 경제활동 참가율 등의 하락 폭을 봐야 한다"면서 "우선 고용률은 실업률 통계에서 제외되는 비경제활동인구를 포함해 계산하고, 경제활동 참가율은 생산가능 인구 중에서 취업자와 실업자로 구성된 경제활동인구로 계산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을 통해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 여파로 구직을 단념했거나 불완전 취업(취업은 했으나 일용직, 임시직 등으로 고용이 불안전한 상태) 등 유휴(Slack) 노동력을 파악할 수 있다.
그는 "4월 노동부 고용 보고서에서 실업률 급등과 함께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이 동반 큰 폭으로 하락한다면, 하반기 미국의 단계적 경제활동 재개에도 비경제활동인구로 빠져나간 사람들이 이전 수준의 경제활동인구로 재유입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그러면서 "4월 고용률은 역사상 최저 수준인 55%(1961년 9월)를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이는 미국의 실업률이 2분기 정점을 기록한 이후 하반기 하락하겠지만, 절대적 수준은 이전의 완전고용 수준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연말 미국의 실업률은 10% 내외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수준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