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편해졌는데 금융만 쇼핑을 할 수 없다는 의문에서 시작했습니다. 혁신 금융 서비스를 기점으로 금융상품의 아마존을 만들고 싶습니다."
이혜민 대표는 핀다의 탄생과 목표를 이같이 밝혔다. 핀다는 2015년 10월 박홍민 공동대표와 함께 만든 금융 상품 플랫폼이다. 그 중에서도 대출에 특화된 '데이터 기반 원스톱 대출마켓'이다. 23~25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19'에서 최종구닫기

이혜민 대표는 대출이 복잡한 법과 규제에 가로막혀 소비자가 적합한 금리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개별 소비자에게 맞는 적정 금리를 받기 위해서는 은행에 방문하고 조회, 서류 신청, 심사 결과까지 기다려야하는데 물리적 비용과 시간이 너무 길다"라며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 여러가지 상품 중 비교해서 최적합한 상품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결과가 빨리 나오는 상품을 선택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대출상품을 많은 상품을 알아볼수록 더 좋은 조건의 대출을 받을 수 있지만 물리적 한계로 평균 2개 정도밖에 알아보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금융회사 입장에서도 적정한 고객을 알 수 없어 불특정 다수에게 상품을 노출하다보니 비용이 많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혜민 대표는 "금융기관 입장에서도 노출만 늘리는 단순한 마케팅을 지속할 수 밖에 없다"며 "마케팅 비용이 금리로 소비자에게 전가된다"고 말했다.
금융기관도 핀다를 통하면 비용 절감 효과가 나타난다.
이혜민 대표는 "금융기관에서도 기존에 발생하는 중개비용, 광고비용이 절약된다"며 "절약됨 금액 일부는 우대금리로 전황할 수 있으며 최소 0.5%p 하락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소비자에게 불합리한 대출 규제를 혁파한게 핀다 서비스다. 혁신 금융 서비스로 지정된 핀다 서비스는 핀다 플랫폼 안에서 상품 조회부터 대출심사까지 진행하고 소비자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추천해준다.
이 대표는 "당사자가 직접 발품을 팔아서 대출상품을 찾아야 했던 과정을 플랫폼 안에서 모두 진행된다"며 "소비자가 제출한 정보를 필요한 기관과 연동해주고 여러 금융회사 상품 중 가장 좋은 대출조건을 추천해준다"고 말했다.
그는 "핀다 내 시뮬레이션 결과, 여러개 상품을 비교하게 돼 11.8% 정도 절감되고 한도도 확대되는 걸로 나온다"라며 "개인에게 최적화 된 금융상품 쇼핑이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핀다는 대출상품 외에도 카드내역, 대출 잔액, 신용 평가 리포트 등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자산, 대출, 지출 내역을 한눈에 볼 수 있어 개인화된 자산관리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 대표는 "대출을 받아도 대출 내 조건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며 "대출정보 등을 제공해 연체하지 않고 상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말했다.
금융기관과 제휴해 금리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도 만들었다. 낙원MG새마을금고와 협업해 만든 '인생핀다론', 씨티은행 직장인 대출상품이 그 상품이다. 핀다를 통해 이 대출을 받을 경우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핀다의 혁신성을 보고 SBI저축은행과 지정대리인에 선정돼 대안신용평가모델을 평가하고 있다.
이혜민 대표는 "6월 말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고객들이 핀다에 가면 특판대출이 있는 등 여러가지 우수한 금융 상품을 가입할 수 있는 서비스로 인식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