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정부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이 조사 과정에서 새롭게 화재 가능성을 발견한 BMW 118d와 미니쿠퍼 D 컨트리맨·를럽맨·페이스맨 등 52개 차종 6만 5763대에 대해 BMW가 리콜을 결정했다. 국토부는 디젤 차량에 대한 리콜 조치를 가솔린 모델까지 포함 시켰다. 포함된 차량은 750Ld, X5, X6 등이 포함됐다.
새롭게 이름을 올린 차량은 BMW 차량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엔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가 사용됐다.
이들 차량은 ‘문제 EGR’가 장착됐음에도 당시 BMW가 화재 연관성이 낮다며 리콜 대상에서 제외했던 B47U, B47C, N47C, B37C, N57X 등 5종의 엔진을 사용한 차량이다.
BMW는 이와 함께 ‘문제 EGR’를 개선한 신형 EGR 장착 차량 중에서도 2016년 12월 완료한 ‘공정 최적화’ 이전 출시된 29개 차종 2만 8666대도 이번 리콜 대상에 포함했다.
BMW는 국토부에 제출한 문서에서 ‘공정 최적화’에 대해 “냉각수 누수 발생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작업”이라고 적시했지만, 국토부는 이 공정이 정확히 어떤 작업인지 파악하지 못했다고 했다.
일각에선 BMW가 책임 회피와 사건 은폐 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BMW는 2015년 말 EGR 냉각수 누수에 대한 사실과 흡기다기관 천공을 인지했고, 2016년 설계 변경까지 진행했다. 또 바이패스 밸브 결함, SW 조작, 엔진 설계 결함 등 다양한 화재원인이 의심되고 있지만, BMW 측에서는 ‘EGR’ 하나로만 특정 지으면서 결함 사실을 축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추가 리콜로 BMW 화재 조사가 끝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하고 “민관합동조사단을 통해 화재 원인과 추가 리콜 적정성 여부, 은폐·축소 의혹에 대해 철저히 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