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대한상공회의소.
2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의 인재상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소통과 협력’을 인재가 갖춰야 할 역량으로 꼽은 기업이 63개사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문성’ 56개사, ‘원칙과 신뢰’ 49개사, ‘도전정신’ 48개사, ‘주인의식’ 44개사, ‘창의성’ 43개사 순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열정’ 33개사, ‘글로벌역량’ 31개사, ‘실행력’ 22개사 등으로 조사됐다.
이번 분석은 100대 기업이 홈페이지에 공표한 인재상을 토대로 이뤄졌다. 100대 기업의 구성은 제조업 43개사, 금융보험업 27개사, 무역운수업 8개사, 건설업 7개사, 도소매업 6개사, 기타서비스업 9개사다.
올해는 5년 전 동일 조사와 비교해 큰 변화가 나타났다. ‘소통과 협력’은 5년 전 7위에서 6계단 오른 1위로, ‘원칙·신뢰’는 5위에서 3위로 올라섰다. 특히 2013년 인재가 갖춰야 할 1위 덕목으로 꼽혔던 ‘도전정신’은 올해 4위로 밀려났다. ‘주인의식’은 2위에서 5위로 떨어졌다.
업종별로 인재상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제조업에서는 ‘소통과 협력’을 직원이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가장 많이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소매업과 무역‧운수업은 ‘전문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업과 건설업의 경우 ‘주인의식’을 갖춘 인재를 선호했다.
전인식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많은 기업들이 기업문화를 개선하고 조직역량을 높이려고 노력하지만 성과는 아직 미흡하다”며 “그렇기 때문에 소통과 협력을 중시하는 분위기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기업마다 원하는 인재상에 조금씩 차이가 있는 만큼,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의 인재상을 꼼꼼히 파악하고 이에 맞춰 본인의 강점을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조사는 2008년부터 매 5년마다 실시됐으며, 올해가 세 번째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