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이미지투데이.
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이번 조치 영향으로 가장 많이 전망되는 것은 ‘거래 절벽’이다. 조치 시행 전인 지난 1~3월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예년보다 최대 3배 이상 상승하는 등 다주택자들이 선제적 움직임이 보였기 때문이다. 양도세 중과 후 이를 피하기 위해 거래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지난달까지 양도세 중과를 피하기 위한 다주택자 움직임이 활발해졌다”며 “보유세 인상이라는 또 다른 조치 시행이 임박해오고 있지만, 다주택자들이 당분간 관망세로 돌아서 주택 거래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반면, 매물 부족에 따른 신규 아파트 선호로 특정 지역 집값이 상승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특히 서울의 경우 전통적으로 공급이 부족한 가운데 지난달 시행한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로 재건축 사업화마저 미진할 것으로 예상해 집값 상승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로 인해 강남 재건축 시장 위축 기조가 돌고 있다”며 “양도세 중과 또한 이를 더 가중해 오히려 강남 등 일부 지역에서는 집값이 상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