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예탁결제원은 지난해 12월 20일 여의도 사옥에서 ‘전자투표·전자위임장 모바일 서비스 오픈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에 예탁원은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주총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것을 막기 위해 각종 대안을 들고 나왔다.
특히 기존에 PC로만 이용이 가능했던 전자투표·전자위임장이 모바일로 그 발판을 넓혔다.
예탁원은 지난해 12월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모바일 서비스를 오픈하고 스마트폰·태블릿을 통해서도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뿐만 아니라 공인전자서명으로 위임장도 수여할 수 있게 됐다.
지난 16년 말부터 전자투표 모바일 서비스 구축 사업계획을 수립해온 예탁원은 작년 8월부터는 본격적으로 개발에 착수해 약 4개월 만에 전자투표 모바일 시스템 오픈에 성공했다.
이병래닫기

예탁원은 합동 설명회 개최, 홍보 활동 등 상장회사의 주총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다.
올해 첫 정기주총 전자투표 행사일인 지난달 26일부터는 매일 1000명 한도로 모바일 기프티콘을 지급하고 있다.
총 3만개의 모바일 기프티콘과 더불어 추첨을 통해 총 1000여 명의 주주에게 상품권 및 가전제품 등의 경품도 지급한다.
나아가 예탁원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한국상장사협의회, 코스닥협회 등 관계기관과 함께 전국에 걸쳐 총 10회 합동 설명회를 개최했다.
예탁원은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금융투자협회 등과 공동으로 주총 참여를 독려하는 대국민 공익광고를 진행하고 신문 및 옥외광고, 홍보물 배포 등 온·오프라인 방식의 다양한 홍보 활동도 시행한다.
시스템·제도 개선에도 힘쓸 예정이다. 예탁원 관계자는 “주주 본인확인 및 전자투표 행사, 전자위임장 수여 시에 활용되는 공인인증서의 범위에 증권용·범용 공인인증서 외에 은행용 공인인증서도 추가하여 주주 편의성을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예탁원은 소액주주 지분율이 75%를 넘는 코스피 21사, 코스닥 98사 등의 발행회사를 대상으로 주총을 분산하여 개최하고 소액 주주에게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주주에 대한 전자투표 이용을 적극적으로 독려할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주총 자율분산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실제 주총을 분산한 회사에 대해서는 올해 1년간 한시적으로 전자투표·전자위임장 수수료를 30% 감면 적용할 방침이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