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는 20일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개정(2016.12월)으로 산업단지 내 입주기업 지원이 가능해짐에 따라 지난해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을 통해 7개 기업에 865억원의 유동성을 공급했으며 지난해 총 9개 기업 1120억원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은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기업의 영업기반인 공장ㆍ사옥을 캠코가 매입한 뒤 해당기업에 재임대 후 우선매수권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중장기 구조개선 노력을 지원하는 제도다. 지난해 유동성 공급 비중은 전체 77%에 해당하며 기업 비중으로도 78%를 차지한다.
지원기업을 살펴보면 부산, 인천, 경기, 충남 등 전국 각지의 산업단지 입주기업에 지원됐다. 분야별로는 △선박 및 자동차 부품 △LPG/CNG 용기 △유량계측기기 등 고용유지 및 전ㆍ후방산업 효과가 비교적 큰 제조업 분야에 집중됐다.
문창용 캠코 사장은 "캠코는 관련 법 개정 등의 노력을 통해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영정상화를 적극 지원해왔다"면서 "앞으로도 정부의 기업구조혁신방안의 큰 틀 안에서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 마련을 통해 기업의 신속한 재기를 지원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사회적 가치 증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캠코는 오는 3월 말 전국 12개 지역본부와 15개 지부에 총 27개의 '기업구조혁신센터'를 설치한다. 이를 통해 시장 투자자와 지원이 필요한 기업을 연결해주는 기업구조조정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회생기업 경영정상화 지원을 위해 채권결집 및 DIP 금융 1500억원,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 1500억원 등 총 3000억원의 신규자금을 투입할 계획이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