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 행장은 2일 신년사를 통해 "정책금융은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는 양적 확대보다는 기업성장 또는 고용확대 등과 같이 시장에서 원하고 효과가 큰 사업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규모 해외 프로젝트 지원 시에도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효과를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비율이 전체대비 지나치게 낮으므로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작년 12월 기준 전체 중소기업 354만개 중 수출 참여 중소기업은 9만4000개에 불과하다.
은 행장은 "중소기업은 경제의 근간으로 우리나라 전체 사업체수의 99%와 고용의 88%를 차지하지만 수출 중소기업은 3% 이하고, 수출비중도 19% 정도에 불과하다"며 "수출 또는 해외진출을 원하는 우리 중소·중견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성장단계별로 최적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해 나가자"고 밝혔다.
또한 대외경제협력기금의 효과성을 높여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은 행장은 "수출금융, 개발금융과의 복합금융 등 재원조달 수단을 다각화하고, 코이카(KOICA) 등과의 협력을 강화해 국제사회에서 '코리아 브랜드'를 확산시켜 나가자"고 말했다.
남북협력기금의 활용방향도 언급했다. 그는 "남북경협 재개에 대비한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지원제도를 사전에 보완하는 등 현 시점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면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우리 정부의 정책을 충실히, 그리고 효과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도록 대비하자"고 말했다.
아울러 은 행장은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시대의 고부가가치 신산업에 맞는 창의적인 금융지원 방안도 함께 고민하자"며 "정책금융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여신과 리스크 간 견제와 균형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은 행장은 이러한 업무추진 방향을 이행하기 위해 수은이 국민의 눈높이에 부응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업무수행 능력은 물론 절차적 투명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수은은 작년 10월 경영진 일괄 사퇴를 시작으로 경영 혁신을 예고했다.
은 행장은 "이번 경영진 인사에 있어서도, 학연, 지연을 배제한 능력중심 인사원칙을 실천하기 위해 공개모집 절차 도입 등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노력했다"면서 "모두가 만족하는 인사를 하긴 쉽지 않겠지만 공정하고 객관적인 심사, 충분한 협의과정 등을 통해 최대한 많은 의견을 받아들이고자 했다"고 말했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