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2일 이같은 방안이 담긴 ‘펀드시장 질서 확립을 위한 개선대책’을 발표했다.
투자업계는 2015년 6월말 815개에 달하던 소규모 펀드를 2016년 12월말 126개로 대폭 감축했다. 금감원은 원활한 소규모 펀드 정리를 위해 제도적·실무적 지원을 강화하고, 행정지도도 병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174개의 소규모 펀드를 유사 펀드로 통합했다.
금감원은 펀드매니저의 운용·관리역량 집중을 위해 공모펀드 대형화를 추진하고 운용책임을 강화해 왔다. 이번 개정안에선 운용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신규 펀드 설정시 자산운용사의 자기자금 투자와 성과보수를 적용한다.
작년 7월부터는 위험등급을 종전 5단계에서 6단계로 세분화하고, 수익률 변동성(최근 3년간 연환산 주간수익률 표준편차)을 기반으로 등급을 선정해 펀드 위험등급 제도를 개편한 바 있다. 더불어 75개 전업 전문사모운용사와 5개 증권사가 운용업에 새롭게 진입했다.
향후에도 펀드위험등급의 유용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이를 지속적으로 보완·개편해 나가겠단 계획이다.
작년 2월 도입된 한 번 방문으로 펀드 판매회사를 이동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위해 관련 제도를 정비했다. 이동절차가 간소화되면서 지난해 펀드 판매회사 전환율은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
이밖에도 사전자산배분 미준수 등 불건전 업무관행 점검을 강화하고, 투자자 중심의 펀드 공시도 정비했다. 펀드정보 제공방식을 자산운용사와 판매회사 중심에서 투자자의 이용 편의성과 유용성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금감원 류국현 자산운용국장은 “공모펀드 신뢰성 확충을 위해 수수료·보수 체계의 적정성을 점검하고 판매사와 자산운용사 간 경쟁을 유도하겠다”라고 설명했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