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금융투자협회)
그러나, 주식·주식형 펀드 투자 시 목표 수익률은 낮아져 주식 투자에 대한 기대감도 과거에 비해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금융투자협회는 자본시장연구원에 지난해 의뢰한 ‘개인의 금융투자 실태 분석’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설문조사는 펀드·주식 등 금융투자상품 거래를 하고 있는 개인투자자 2,399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것이다.
설문에 응답한 개인투자자들은 투자비중 확대 의향이 있는 금융상품을 선택했다. 그 결과, 주식(21.8%), 주식형편드(14.0%), 정기예금(9.8%), 채권형펀드(7.8%), 해외펀드(6.8%), ELS· DLS(5.3%), 부동산펀드(3.3%) 순으로 비중 확대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식과 주식형펀드 응답률을 합치면 응답자의 35.8%에 달한다. 이를 지난 2012년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개인투자자의 투자 트렌드가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12년 결과에 따르면 정기예금(53.2%), 주식(26.4%), 주식형펀드(20.7%), 채권형펀드(8.7%), 해외펀드(4.5%) 순으로 비중 확대 의견이 높았다. 과거 53.2% 였던 정기예금 선호도가 크게 줄어들며 해외펀드, 파생결합증권 등 다양한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반면, 개인투자자들의 주식 및 펀드 기대 수익률은 낮아졌다.
응답자들은 주식 및 펀드 투자 시 연간 목표(기대)수익률을 각각 9.0%, 7.1%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조사 시 주식 및 펀드 투자 연간 목표 수익률이 각각 18.3%, 16.4%인 것과 비교하면 절반 이상 줄어든 것이다.
응답자들은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예금성 자산(예금, 적금, 저축성보험 등)보다는 투자성 자산(주식, 펀드, ELS 등)의 보유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 소득 3천만원 미만의 개인은 예금성자산 보유 비중이 57.0%로 투자성 자산 34.6%보다 높았다. 반면 연 소득 2억원 이상의 고소득자는 투자성 금융자산 비중이 50.4%로 예금성자산(40.0%)보다 높았다.
정수섭 금융투자협회 기획조사실장은 “개인투자자들이 주식과 주식형펀드를 가장 선호하는 투자대상으로 꼽은 것은 저금리 상황속에서 적정 수익률을 달성하기 위한 선택으로 보인다”며, “금융회사가 개인투자자들의 투자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며 직원의 전문성 강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금융투자협회는 앞으로 매년 설문조사를 실시해 개인의 금융투자 관련 트렌드를 파악할 계획이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