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가 이재현닫기

K 컬처밸리는 테마파크·융복합공연장·숙박·쇼핑시설로 구성된 대규모 한류 문화콘텐츠 구현 거점으로, 정부는 K 컬처밸리를 포함해 문화창조 융합센터-문화창조벤처단지-문화창조아카데미 등을 엮어 하나의 거대한 문화벨트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이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되는 초대형 사업으로, 현 정권 들어 문화계의 황태자 라고 불린 차은택 전 문화창조융합본부장이 주도해왔다.
CJ는 차 씨가 주도한 현 정부의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에 1조 4000억여 원을 투자를 했으며, CJ E&M의 우선협상자 선정 과정과 1%의 대부금리 적용 등의 특혜를 받았다는 의심을 사고 있다.
CJ E&M은 지난해 12월 K 컬처밸리 사업자로 낙점됐으며, CJ E&M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되던 날 서울 중구에서 열린 문화창조벤처단지 개소식에는 박근혜 대통령과 손경식닫기

앞서 경기도가 CJ와 K 컬처밸리 조성 협약을 맺기전 K 컬처부지 일부에는 영상 콘텐츠 산업 시설을 포함한 ‘한류마루’의 건립이 논의됐다 급하게 취소된 바 있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부터 석연치 않다는 의혹이 일어난 이유다.
CJ E&M 은 K 컬처밸리의 사업 부지를 헐값에 매입한 의혹도 받고 있다. CJ E&M 컨소시엄은 K 컬처밸리 용지에 1% 금리를 적용해 대부 받았다. 1%의 대부료율은 외국인투자기업이 받을 수 있는 최저한도로, 외국인 투자기업의 자본금 10% 이상을 외국인이 투자하면 등록 가능하다.
하지만 CJ E&M 컨소시엄은 기본협약을 체결한 뒤 한 달이 지나서야 싱가포르 투자자문회사인 방사완브라더스로부터 50억 원을 투자를 유치해 외국인 투자 비율 요건을 충족했다. 이를 통해 사업부지를 공시지가의 1%에 해당하는 싼값에 빌리면서 의혹을 받았다.
CJ 관계자는 K 컬처밸리를 둘러싼 각종 특혜 의혹과 차 씨의 연루설에 대해 적극 부인했다. 해당 사업과 관련해 차 씨로 부터 특혜를 제공받은 적이 없으며 , 차 씨가 자신들에게 호의적이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이어 CJ의 문화 사업 역량과 경험에 비춰봤을때 비선 실세가 굳이 개입할 여지가 없다는 입장이다. 또한 1%의 금리를 적용해 k 컬처밸리 사업 부지를 빌린 데도 “경기도가 다른 사업을 공고할 때 외자유치 조항에 있어 설립, 혹은 설립 예정인 외투기업을 모두 인정해주고 있기 때문에 CJ에도 같은 조건을 적용해 준 만큼 특혜가 아니다”는 설명이다.
업계에 따르면, K 컬처밸리 외에도 일산의 원마운트, 한화 아쿠아플라넷 등이 1% 이하 금리로 땅을 빌려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경기도의회 K 컬처밸리 특혜의혹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는 오는 14일 차 씨에 참고인 출석을 요구했다.
김은지 기자 rdwrw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