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SM은 기술집약적인 창업 초기 기업에 특화돼 운영될 계획이다. 또 비상장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위주로 운영되는 다른 장외거래 플랫폼과도 차별화를 이룰 전망이다.
아이디어가 좋거나 기술력이 뛰어나 성장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찾는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KSM의 주요 거래 대상은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 불특정 다수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크라우드펀딩 성공업체, 정책금융기관의 추천을 거친 회사들이다.
업계는 KSM이 K-OTC(한국장외주식시장)와의 차별화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