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한국은행 '바이오인증기술 최신동향 및 정책과제' 보고서
한국은행은 26일 '바이오인증기술 최신동향 및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현재 금융결제원 주도로 바이오인증 기술 업체간 호환성 협의가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바이오인증기술은 홍채, 지문, 정맥, 얼굴, 음성, 걸음걸이 등 인간 고유한 생체정보를 통해 개인을 식별하거나 인증하는 기술이다.
최근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뱅킹 사용이 늘면서 은행, 증권사에서 인증 방식으로 이같은 생체 정보를 활용하고 있는 추세다. 지문, 홍채를 이용한 모바일뱅킹, 손바닥 정맥을 이용한 디지털 키오스크, 홍채인증 자동화기기(ATM) 등이 사례다.
그러나 바이오인증기술 적용상 문제점으로 호환을 위한 표준화 미흡이 지적되고 있다. 바이오정보가 유출되거나 해킹을 당해도 재활용되지 않도록 분산관리 표준안을 만드는 작업이 요청되고 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국내 업체들의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며 각 업체마다 고유의 빠르고 정확한 인식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호환성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에따라 한은은 중앙은행의 정책과제로 표준화 추진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은은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산하 표준화위원회를 통해 금융기관 간 생체정보 메시지 호환을 위한 표준화를 추진중에 있다"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