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16일 발표한 '한은 금융망 참가기관간 자금수급구조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129개 참가기관의 자금이체 내역을 바탕으로 자금수급 구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은금융망은 금융기관간 자금거래나 증권·외환거래 대금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한국은행이 운영하는 거액결제시스템이다. 지난달 말 현재 국내 은행, 외국은행 국내지점, 금융투자회사 등 총 130개 기관이 참가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은금융망을 통한 올해 일평균 자금수급규모는 295조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마감시간대인 오후 4시부터 5시 30분 사이에 참가기관간 자금수급의 64.2%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회사의 경우 이 시간대 거래규모가 하루 전체의 79.0%를 차지했다.
한은은 "마감시간대 자금이체 집중 완화를 위해 예를들어 오후 1시∼2시를 집중입력시간대로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은행과 금융투자회사간 자금이체가 116조8000억원(39.6%)으로 가장 많았다.
또 자금수급규모 상위 10개 금융기관이 네트워크 분석대상 자금수급규모 244조4000억원 중 132조6000억원(54.3%)으로 과반 이상을 차지했다.
한은은 "자금수급의 집중도가 높은 금융기관을 '중요결제기관'으로 선정해 이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은은 "한은금융망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참가기관과 결제동향 등의 정보 공유를 확대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