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카드는 고객의 개인화된 소비를 분석해 소비생활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기반 비서 서비스인 ‘FAN페이봇’을 런칭한다고 8일 밝혔다.
‘FAN페이봇’이란 고객이 카드사용내역을 본인이 관리하고 싶은 항목, 예를 들어 취미, 자기관리, 노후 준비, 소소한 일상, 데이트 등과 같이 구분하길 원한다면 인공 지능이 카드사용내역을 이러한 구분에 맞게 자동 분류해주고, 고객이 비용항목별로 예산을 설정할 경우 예산 내에서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비서처럼 지속적으로 어드바이스를 제공해주는 서비스다.
‘FAN페이봇’은 고객이 관리하기 원하는 비용항목을 제시해준다. 기존의 소비관리 서비스들은 백화점, 마트, 홈쇼핑 등과 같이 단순히 업종별로 소비 내역을 분류했지만 ‘FAN페이봇’은 사용자가 관리하고 싶은 비용항목을 직접 입력해 관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내기 직장인이 ‘데이트’ 비용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고 싶다고 했을 때, 기존의 소비관리 서비스에서는 영화관, 패밀리레스토랑, 놀이공원 등으로 분류된 서로 다른 지출 카테고리의 비용을 고객 스스로 계산해야만 소비관리가 가능했다. ‘FAN페이봇’에서는 고객이 ‘데이트’라는 단어만 입력을 하면 인공지능이 영화관, 패밀리레스토랑, 놀이공원 등을 “데이트”라는 카테고리로 자동 분류하여 고객 입장에서는 보다 쉽고 정확하게 본인의 소비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고객 개개인 단위로까지 소비데이터를 심층 분석해 해당 고객에게 적합한 소비관리 어드바이스를 제공한다.
고객의 소비데이터 분석해 지름신이 오는 날짜를 파악하고, 고객에게 사전에 알림메세지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소비가 가능하도록 지원 해준다.
비용항목별로 예산을 설정하면, 카드사용내역을 체크해 예산 대비 지출 정도를 매일매일 확인할 수 있으며, 비용항목별로 상세지출내역을 살펴볼 수 있다.
‘FAN페이봇’ 서비스는 내달부터 신한카드 임직원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진행하며, 인공지능 스스로 소비 패턴 분석을 정교화하는 학습 과정을 거쳐 연내에 전체 고객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