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이 11일 공개한 '2016년 상반기 중 손상 화폐 및 교환규모'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 한국은행이 폐기한 손상 화폐 규모는 1조5151억원이었다. 금액이 지난해 하반기 1조6614억원 어치보다 8.8%(1463억원) 감소했다.
지폐 중에는 1만원권이 1조2349억원으로 전체 지폐 폐기액의 81.5%로 대부분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1000원권(6.6%), 5000원권(6.3%) 순이었다.
동전 중에선 100원이 전체 동전 폐기액의 49.4%(4억원)로 절반을 차지했고, 500원짜리는 37.0%(3억원) 이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상반기 폐기된 손상 화폐를 모두 새 화폐로 대체하는 데 들어간 비용만 219억원에 달한다.
상반기 중 한국은행에서 바꿔간 손상화폐 규모는 9억1600만원으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13.4%(1억800만원) 늘었다.
화폐손상 이유 중에는 불에 탄 경우가 3억9300만원(42.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습기나 장판 밑 눌림 등으로 훼손된 경우도 3억4800만원(38.0%)이었다.
손상화폐를 가져와도 모두 새 돈으로 바꿔가진 못했다. 한국은행에 가져온 액면금액은 9억6600만원이었지만 교환한 액수는 9억1600만원으로 나머지 5100만원은 반액 또는 무효판정으로 액면가만큼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뒷면을 모두 갖춘 지폐의 남은 면적이 원래 크기의 4분의 3 이상이면 액면금액 전액을 교환할 수 있다. 하지만 5분의 2 이상 4분의 3 미만이면 반액만 교환할 수 있다. 남은 면적이 5분의 2 미만이면 교환 받지 못한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손상사유 중 화폐보관 방법이 적절하지 않거나 취급상 부주의 등에 의해 손상된 경우가 교환건수 기준 74.2%에 달해 일부 국민의 화폐사용 습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