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4일 열린 국책은행 자본확충 협의체 1차 회의 모습 / 사진자료= 기획재정부
1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정부가 참여하는 '국책은행 자본확충 협의체'는 지난 4일 첫 회의에 이어 이번주에 2차 회의를 열고 논의를 재개한다.
정부의 재정정책과,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을 적절히 조합하는 정책조합(Policy Mix)을 기본 전제로 하여 한국은행이 앞서 제시한 자본확충펀드가 현실적 대안으로 떠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협의체와 밀접한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국책은행 자본확충 협의체는)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됐을 때 대비하자는 것이 주요 취지"라며 "자본확충펀드를 준용해서 한은과 정부가 안을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4일 이주열닫기

유력 대안으로 떠올랐기는 하나 자본확충펀드 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지난 13일 기준금리 결정 후 기자간담회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자본확충펀드는 현재 하나의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다"며 "조성규모를 얼마로 할지, 운용구조를 어떻게 끌고 갈지, 회수 장치를 어떻게 마련할지 등의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자본확충펀드가 조성될 시 규모는 약 10조 원으로 점쳐지며 운용주체는 IBK기업은행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손실최소화 원칙'을 언급하며 정부의 지급보증을 받길 원하고 있는 점도 변수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기준금리 결정 후 기자간담회에서 "손실 최소화 원칙은 중앙은행의 기본적인 원칙이자 책무"라며 "중앙은행은 대출을 해주든 채권을 매입하든 자산을 운용하는 데 원칙적으로 손실을 봐선 안 된다"고 말했다. 앞서 독일 프랑크프루트에서 언급한 중앙은행의 손실 최소화 원칙을 재차 확인한 것이다.
이로인해 기획재정부가 직접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에 보유 공기업 주식을 현물출자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말에도 수출입은행에 1조 원 규모의 한국토지주택공사 주식을 현물출자한 적이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국책은행 출자는 재정에서 할 일이라고 보고는 있지만 한은에 요청하는 것은 확실히 신속하기 때문"이라며 "기재부와 한은이 접점을 찾는 게 쉽지 않지만 조선, 해운 등 취약업종 꼽힌 5종이 모두 어려운 상황이라 결론에 도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