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중공업 조선소.
이는 조선업계 ‘빅3’인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의 매출액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11.2%이기 때문으로, 해운 ‘빅2’인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평균 2.0%보다 6배 정도, 삼성전자의 7.6%보다도 높다.
한국2만기업연구소(소장 오일선)는 조선 3사의 최근 5년 간 매출대비 인건비 비중을 집계한 결과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인건비가 매출 대비 13.7%를 차지했다며 9일 이같이 밝혔다.
삼성중공업은 2011년 매출대비 인건비 비중이 8.7%였으나, 2012년(9.1%), 2013년(9.6%), 2014년(10.1%)로 꾸준히 상승했다.
현대중공업도 최근 5년 간 인건비 비중이 2011년(8.3%), 2012년(8.4%), 2013년(8.5%), 2014년(9.9%), 지난해 9.9%로 지속적으로 늘었다. 이 회사는 매출에서 인건비 비중이 9%를 넘긴 2014년과 2015년에는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대우조선은 2011년 10.2%, 2012년 10%, 2013년 9.1%, 2014년 9.6%, 지난해 10%로 집계됐다.
기업연구소는 조선 3사가 매출대비 인건비 비중을 2%포인트 낮추면 연간 9000억원의 비용 절감 효가 있다고 추산했다. 이들 3사의 지난해 기준 직원은 5만4582명이다.
현대중공업이 인건비 비중을 1%포인트 낮추면 연간 2400억원을, 삼성중공업도 인건비 비중을 10%로 유지하면 3400억원을, 대우조선해야도 인건비 비중을 1%포인트 낮추면 1300억원 정도의 비용을 절감 효과가 발생한다.
기업연구소는 “영업적자에서 같은 인건비 수준을 유지하면 경영상 큰 부담이 된다”며 “조선 3사가 저성장 시대를 극복하려면 매출에서 차지하는 인건비 비중을 1~2%포인트는 더 낮춰야 회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수남 기자 perec@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