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 한국은행. 정수남 기자
12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지난달 24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당시 금융안정국은 ‘최근 거시 금융안정상황 점검’ 보고서를 통해 국내 부채는 지난해 3분기 현재 분석대상국(41개)에서 24위에 올라 과도한 수준은 아니다고 밝혔다.
금융안정국은 우리나라 부채 증가 속도가 다른 나라보다 빠른 편이며, 가계와 정부 부채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어 유의할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정부의 여신심사 강화와 주택경기 둔화 전망 등으로 올해 가계부채 증가 규모는 지난해보다 축소될 것으로 금융안정국은 내다봤다.
한은은 “가계의 채무상환능력과 금융기관의 충격흡수 여력 등을 고려할 때 가계부채가 단기간에 금융시스템의 위험 요소로 부각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면서도 “대내외 충격 발생 시 취약가계를 중심으로 부실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금융기관 건전성 악화 등으로 금융불안이 촉발될 가능성은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현재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은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으로 평가했으나, 지속적인 구조조정을 강조했다.
한은은 “실물경제는 물론 금융시스템 안정성 유지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하는 부실기업에 대한 상시적이고 지속적인 구조조정 추진이 필요하다”며 “대외충격 발생 가능성에 대비해 다양한 해외 위험요인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