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한국은행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15년 4/4분기 및 연간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 GDP는 전년대비 2.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증가세로 성장세를 유지했으나 수출부진이 이어지면서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민간소비와 건설투자는 각각 2.1%, 4.0% 증가했고 설비투자 증가율도 5.2%로 견조한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나 지식재산생산물투자와 수출 증가율 각각 1.4%와 0.4%로 전년대비 3.2%p, 2.4%p 떨어졌다.
작년 4분기 성장률은 0.6%로 분기성장률이 다시 0%대로 내려앉았다. 분기성장률은 지난 2014년 1분기 1.1%였다가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2분기 0.5%대로 떨어진 이후 지난해 2분기까지 5분기 연속 0%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엔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등 내수진작 정책이 이어지며 1.3%로 올라섰지만 다시 0%대로 낮아진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성장률은 2.6%에 그치며 2012년 2.3%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2013년엔 2.9% 2014년엔 3.3%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민간소비 증가세가 확대되고 수출이 증가로 돌아섰으나 건설투자가 큰 폭 감소했다.
민간소비는 내구재와 서비스 소비를 중심으로 전기대비 1.5% 증가했고 수출은 화학제품, 휴대폰 등이 늘어 2.1% 늘었으며 수입은 석유 및 화학제품, 운송장비가 늘어 2.8% 증가했다. 그러나 건설투자에서 토목건설이 부진하면서 6.1% 감소했다.
한편 실질 국내총소득(GDI)는 유가하락 등으로 교역조건이 개선되면서 2014년 3.7%를 크게 상회하는 6.4%를 기록했다.
김효원 기자 hyowon12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