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작년에 현대커머셜이 1200억원, 올해는 하나캐피탈이 1500억원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최근에는 KB캐피탈도 1000억원 규모의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 신종자본증권은 채권 형태지만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돼 금융사들이 자본확충 수단으로 많이 활용한다.
연말 레버리지 규제 적용을 앞두고 비카드 여전사들이 자본확충에 나서면서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레버리지 규제는 조정자기자본비율 7%, 레버리지는 10배 이내로 유지해야 하는 룰이다. 자본확충의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유상증자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대주주 지분희석, 주주가치 상실 등의 원인으로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럴 때 신종자본증권이나 후순위채권 발행을 선택하는데 최근 기준금리가 1%대로 들어서면서 이자부담이 다소 경감된 것도 호재다.
게다가 금융감독원이 지난 1월 여전업감독업무시행세칙 개정을 예고하면서 조정자기자본으로 인정되는 후순위채무(하이브리드 포함)의 요건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현행 감독규정은 조기상환이 금지된 후순위채무만 자본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대커머셜은 작년에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으로 레버리지를 개선했으나 조정자기자본으로 인정받지는 못했다.
하지만 신종자본증권은 주식과 채권의 성격을 모두 갖고 있어 신용평가 반영에는 제한적이다. 한신평이 BBB등급의 여전사가 유상증자 또는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통해 각각 500억원의 자본을 확충했다고 시뮬레이션한 결과 유상증자를 한 회사는 A등급으로 오른 반면 신종자본증권은 BBB등급 그대로였다.
안지은 한신평 연구위원은 “캐피탈의 하이브리드 자본성은 50% 내외 수준만 해당되고 나머지 50%는 부채로 여겨 신용평가를 시행한다”며 “하이브리드 발행은 유상증자보다 신용도 개선효과가 제한적이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원충희 기자 w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