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그나360°웰빙지수는 개인의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동기, 인식, 태도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관찰하기 위해 만든 최초의 연간지수이다. 이는 시그나에서 주관하고 소비자리서치 회사인 Ipsos에서 실시한 독립적인 연구조사로 홍콩, 중국, 태국, 한국, 뉴질랜드를 포함한 APAC 시장과 영국을 조사 대상으로 했다. 6개국에서 각각 대표 표본 1,000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온라인 서베이로 진행됐다.
웰빙에 대한 인식 전반을 비롯한 5가지 핵심 부문(신체건강, 사회관계, 가족, 재정상황, 직장과 관련된 건강 및 복지)에 대한 상태를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응답자의 전반적 인식을 측정해 지수로 보여준다.
각국의 연령대 별로 분석해 보면, 중국의 경우 30대(67.7점)에서 웰빙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50대(60.8)에서 낮게 조사됐다. 태국은 30대(61점)가 상대적으로 웰빙지수가 낮게 집계되었으며 60대 이상(71.5점) 응답자들의 웰빙지수가 조사국 중 제일 높았다. 영국은 이번 조사에서 40대(59.7점)가 낮은 웰빙지수를 보였고 60대 이상(63점) 응답자의 웰빙지수가 제일 높았다. 또한, 뉴질랜드도 40대(59.4점)에서 웰빙지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60대 이상(64.2점)에서 높은 웰빙지수를 보였다. 홍콩 역시 40대(59.4점)가 가장 낮고 60대 이상(61.5점)에서 높게 나왔다.
특히, 한국인의 웰빙지수를 살펴보면, 30대(59.9점)에서 이른바 ‘중년의 위기’가 다른 국가에 비해 더 일찍 나타나고 더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관측됐다. 이는 조사국 30대의 웰빙지수를 놓고 비교해도 한국 30대의 웰빙지수가 제일 낮은 것으로 태국의 30대보다 지수가 더 낮게 조사된 것이 특징이다.
라이나생명 관계자는 “한국의 30대들은 무엇보다 재정적인 스트레스와 직장에서의 고충이 건강과 웰빙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며 “이는 일명 ‘낀 세대’로 불리는 30대의 경제적 여건, 불안정한 직장 생활과 불확실한 미래에의 두려움으로 전반적인 웰빙 수준이 낮다고 평가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