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 연준과 영국은행은 긴축으로 가는 반면 유럽중앙은행과 일본은행은 당분간 느슨한 정책을 유지하는 등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지속적으로 차별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먼저 미국경제의 경우 미국 경제가 수년째 속도제한 내에서 순항하고 있으나 잠재적 주택수요, 지출축소 및 세금인상으로 인한 재정장애의 축소, 자본적 지출의 단기적 증가에 힘입어, 경기순환적 상승을 앞두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연준이 저금리 여건을 지나치게 오래 유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성장의 발목을 잡는 금리 인상을 빠르게 연달아 시행할 리스크가 있다는 것이다.
유럽의 성장률이 의외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유로존이 걷잡을 수 없는 디플레이션의 소용돌이에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유럽중앙은행(ECB)이 무엇이든 할 의지가 있다는 점은 유럽의 위험자산에 호재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머징시장은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 6개월 간 발생한 세계에서 가장 큰 변화로 이머징시장에서 고조되던 위기가 안정된 점을 꼽는다. 많은 이머징경제가 조정을 거쳐 경상수지적자가 축소되기 시작하면서, 경제 및 시장이 반등할 태세를 갖추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본은 낙관, 중국은 우려라는 스탠스를 내놓았다. 최근의 상대적으로 부진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일본은행(BoJ)의 대규모 양적 완화, 저렴한 밸류에이션, 경제 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구조적 개혁, 국내 투자자 관심의 증가 등을 근거로 일본 주식을 낙관했다.
중국은 수출에 따라 증시의 희비가 결정될 전망이다. GDP의 1/4을 차지하는 중국의 수출에 많은 것이 달려 있으며, 수출이 버텨 준다면 정부에는 운신의 폭이 생기지만, 수출 성장률이 예상 밖으로 낮아질 경우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아시아 주식의 어젠다 및 전망을 지배하는 것은 구조적 개혁으로 꼽았다. 이 현상은 아시아 최대 경제인 중국과 인도에서 특히 강하다. 아시아 시장이 변화의 기로에 서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개혁으로 아시아 지역이 성장하면서 하반기 경제가 개선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개혁으로 인한 과실은 본질적으로 장기간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면 개혁과정에서 시장은 단기적인 변동성에 어느 정도 노출될 것이라는 진단이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