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이 유동성흡수정책의 속도조절에 나서고 있다. ECB는 최근 통화정책회의에서 양적완화 조치를 단행했다. 기준금리를 기존 0.25%에서 0.15%로 초단기 수신금리인 ECB 예금금리를 0%에서 -0.10%로 인하가 핵심이다. 또 가계와 기업대출확대차원에서 약 4,000억유로(원화 556조원) 규모의 장기대출프로그램(LTRO)도 시행된다.
ECB양적완화에 따른 유로화 약세에 대응하여 미국 연준위는 금리인상 시기를 지연하고 있고, 일본 BOJ도 추가 양적완화의지를 밝히는 등 선진국들은 통화전쟁 양상이다. 이처럼 선진국의 글로벌 유동성확대 움직임으로 신흥국 통화가치 절상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최근 일부 신흥국이 예상 밖의 기준금리인하를 단행, 그 배경에 궁금증을 낳고 있다.
중국은 최근 금리인하 카드를 빼들었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9일 특정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지준율을 50bp 인하했다. 단 적용대상은 3農(농촌, 농업, 농민)과 영세기업 대출규모가 일정비율에 달하는 은행업 기관과 재무공사, 금융리스회사, 자동차금융회사 등으로 한정했다. 6월말 유동성경색을 막아 사전에 단기자금시장을 안정시키겠다는 취지다.
정치적 불확실성에 휩싸인 신흥국들도 금리인하에 나서고 있다.
정치불안에 휩싸인 태국, 터키는 지난 3월과 5월 기준금리를 각각 2.25%에서 2%로 10%에서 9.5%로 인하했다. 또 멕시코도 지난 6일 기준금리를 3.5%에서 3%로 사상 최저치 수준으로 낮췄다. 문제는 이들 나라들의 물가상승세가 가팔라지면서 외국인의 자본이 유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펀더멘탈이 취약한 태국, 터키, 멕시코 등은 외국인 포트폴리오투자가 급감하고 있으며 자금이탈도 진행중이다. 신흥국 금리인하에 따른 자국 통화가치 하락이 물가상승, 그리고 외국인 자금유출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동부증권 박유나 연구원은 “무엇보다 하반기 중 미 금리인상 이슈가 불거지면서 미달러 반등이 지속된다면 신흥국 투자 차익실현 욕구에 따라 외국인 투자가 더욱 감소할 수 있다”라며 “신흥국에 투자하는 외국인들은 물가 수준에 따른 실질금리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자금 집행을 결정하는 만큼, 앞으로 해당 신흥국의 물가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자금 유출 우려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