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NB 활짝 KJB 움찔 우리금융은 흐림
KNB는 거래 개시 후 이틀 연속 오르며 기업가치를 제대로 대접받기 시작했고 이와 달리 KJB는 이틀째 떨어지며 상반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KNB와 KJB 모두 우리금융의 거래정지 전 1만2000원에서 시작했으나 거래 첫 날인 22일 KNB는 12950원, KJB는 1만18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둘째 날인 23일에도 KNB는 1만3650원으로 상승세를 이어간 반면 KJB는 1만1700원으로 또 다시 하락했다.
이런 가운데 우리금융 주가 역시 23일 떨어지면서 향후 추세에 관심을 쏠리게 하고 있다. 4월 29일부터 거래정지 되었던 우리금융은 지난 22일부터 분할거래 됐다. 재거래가 시작된 날 우리금융은 1만2650원으로 마감했으나 23일 1만2400원으로 떨어지며 추이에 주목하게 했다.
재거래를 시작한 우리금융의 주식수는 6억7600만주로 84% 규모로 줄었다. KNB는 7842만주, KJB는 5151만주로 신규상장 됐다. KNB와 KJB는 상장신청일 현재 순자산가액에 따른 평가가격의 50~200% 범위 내에서 시초가를 결정한 후 시초가에서 상하 15% 가격제한폭에 따라 거래될 예정이다. 분할기산일인 지난 1일을 기준으로 이들의 주당순자산가액은 2만3396원이다.
◇ “KNB·KJB 투자매력 낮아”
한편 KNB와 KJB, 우리금융 주가에 대한 적정가격 추정이 눈길을 끈다. 교보증권 황석규 애널리스트는 분할 이후 KNB와 KJB의 적정가격을 각각 1만4500원, 1만3300원 수준으로 추산했다. 그는 KNB와 KJB의 경상 ROE는 각각 7.1%, 6.5% 정도로 22일 종가 기준 PBR 0.55배, 0.50배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상승여력이 10% 내외 추가적으로 발생할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동부증권 이병건 애널리스트는 “KNB, KJB는 인수자인 BS, JB금융지주의 이해관계가 우선할 수 있다는 점과 추가 자본확충 우려 때문에 시초가 형성 이후에는 큰 매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그는 우리금융의 ROE는 대형은행들과 비슷한 6.1%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KNB와 KJB는 각각 9.4%, 8.4%로 BS나 DGB와 같은 상대적으로 높은 ROE 시현이 추정되나 자기자본비율이 다소간 열위에 있다는 점에서 고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 자본확충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살림 떼어준 우리금융 순탄할까
황석규 애널리스트는 우리금융은 1만1000원대가 적정하다고 주장했다. 지금보다 더 낮아지는 것이 적정하다는 주장이어서 대조적이다. 일단 이들 지방은행 분할에 따라 자기자본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몸값 또한 자연히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우리금융의 경우 경상 ROE가 5% 수준인데 비해 PBR이 이미 0.57배에 달해 상승가능성 보다는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현대증권 구경회 애널리스트 역시 우리금융에 대해 1만1300원의 목표주가를 제시하면서 “분할된 은행들이 더 유망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KNB와 KJB를 각각 인수한 BS와 JB는 레버리지효과를 얻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금융 민영화 향방이 불투명한 점 역시 우리금융 주자 흐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요소로 꼽혔다. 이 애널리스트는 “민영화 불확실성이 해소되어야 투자매력이 충분할 것”이라 지적하며 “우리금융의 경우 저평가 매력은 여전하지만 결국 자산건전성 개선 및 수익성 개선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올 2분기 이후 경상적 순이익 흐름에 주목해야 하다”고 덧붙였다.
김효원 기자 hyowon123@fntimes.com